안녕하세요. 판다롱입니다.
서울 4대 궁궐 마지막 덕수궁입니다.
조선시대의 궁궐, 덕수궁
덕수궁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 갔던 선조가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을 때, 월산대군 저택과 그 주변 민가를 여러 채 합하여 '시어소'로 정하여 행궁[정릉동 행궁]으로 삼았던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이후 광해군이 즉위한 후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경운궁'이란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궁궐의 모습을 갖춘 덕수궁은 인목대비 유폐와 인조반정을 겪으면서 규모가 축소되었고, 특히 인조가 즉위한 이후 즉조당과 석어당을 제외한 나머지는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었습니다. 이로써 덕수궁은 더 이상 왕이 공식적으로 머물며 국정업무를 보던 궁궐의 기능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난 이후 덕수궁이 다시 역사에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을미사변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후, 1897년 2월에 덕수궁으로 환궁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대한제국이라는 황제국을 선포한 후 황국으로서의 규모와 격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1904년 덕수궁 대화재와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 덕수궁은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습니다. 이때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 또한 바뀌게 되었습니다.
◈대한문
원래 궁궐의 정문은 남쪽으로 난 인화문이었는데, 환구단 건립 등으로 경운궁의 동쪽이 새로운 도심이 되자 동문인 대안문을 정문으로 삼았습니다. 1906년에 대한문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70년 태평로를 확장하면서 서쪽으로 물러 앉게 되면서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습니다. 대한문을 지나 건너게 되는 금천교는 1986년에 발굴한 것입니다.
◈중화전
1897년 러시아공사관에서 덕수궁으로 환궁한 고종은 즉조당을 정전으로 사용하였으나, 협소하였으므로 1902년 새로운 정전으로 중화전을 지었습니다. 본래는 2층으로 된 중층 건물이었으나 1904년 4월 화재로 소실된 후 현재의 단층 건물로 중건되었습니다. 앞뜰에 조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문무백관의 위치를 표시하는 품계석이 좌우에 있으며, 중화전의 정문으로 중화문이 있습니다.
◈중화문
1902년에 건립된 중화전의 정문으로 1904년 덕수궁 대화재로 소실된 후 새로 만들어 세웠으며, 본래 중화문 좌우에 행각이 있었으나 없어지고 동측에 일부만 남아 있습니다.
◈함녕전
1897년 건립된 함녕전은 고종의 침전으로 사용되었으나, 1904년 함녕전 온돌 수리공사 중 일어난 화재로 함녕전은 물론 덕수궁 내 전각들이 모두 소실되었습니다. 함녕전은 이듬해인 1905년 8월에 중건하였습니다. 이 곳은 1919년 1월 21일 고종이 승하한 곳이기도 합니다.
◈즉조당
준명당과 복도로 연결되어 있는 이 건물은 15대 광해군과 16대 인조가 즉위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897년 고종의 경운궁(덕수궁)으로 환궁한 직후 정전으로 이용하였으며, 이때 즉조전의 이름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불렀습니다. 이후 1902년 새로운 정전이 세워지자 다시 즉조당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1904년 덕수궁 대화재 때에 소실되었던 즉조당은 그 해에 석어당, 준명당과 함께 건물을 다시 짓고, 1905년 9월 현판을 걸어 완전히 중건하였습니다. 이 곳은 고종의 후비인 순헌황귀비가 1907년부터 1911년 7월 승하할 때까지 생활하던 공간이기도 하며, 건물은 정면 7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되어있습니다.
◈준명당
이 건물은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904년 화재 때에 소실되었으며, 같은 해에 건물을 다시 짓고, 1905년 8월 현판을 걸어 중건하였습니다. 목조 건물로 즉조당과는 복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고종께서 신하나 외국 사신을 접견하던 곳으로, 함녕전이 지어지기 전까지 고종의 침전으로 쓰였다고 합니다. 이 건물은 높은 기단 위에 세워졌고, 정면 6칸, 측면 5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좌우 툇간에는 쪽마루가 있습니다. 이후 1916년 4월에는 덕혜옹주 교육을 위한 유치원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석어당
석어당의 창건 연대는 확실치 않습니다. 1904년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같은 해에 건물을 다시 짓고, 1905년 9월 현판을 걸어 완전히 중건하였습니다. 덕수궁의 유일한 중층의 목조 건물로 선조가 임진왜란 중 의주로 피난 갔다 환도한 후 거처하셨던 곳이자 1608년 2월 승하한 곳으로 추정됩니다. 이 밖에 광해군이 인목왕후를 유폐시켰던 곳, 인조반정이 성공한 뒤 광해군의 죄를 문책한 곳이기도 합니다. 특히 석어당은 단청을 하지 않은 '백골집'으로 아래층은 정면 8칸, 측면 4칸이며 위층은 정면 6칸, 측면 1칸으로 겹처마에 팔작지붕의 건물입니다.
◈덕홍전
함녕전을 고종의 침전으로 사용할 때 일반 빈객들을 접견하기 위하여 1906년 건립한 후 1911년에 개조한 전각으로 주로 황제가 외국 사신이나 대신들을 만나던 접견실로 쓰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4칸이며 겹처마 팔작지붕의 단층 건물로 측면에는 좌우 툇간이 있어서 전체의 평면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원래 덕홍전 주위에는 행각들이 있었으나 지금은 남행각 일부만 함녕전 남행각에 연접되어 있습니다.
◈광명문
광명문은 고종의 침전이었던 함녕전의 남쪽 대문입니다. 1904년 화재 이후 중건되었다가 1930년대에 석조선 서관 남쪽으로 옮겨졌고 그 안에 보루각 자격루와 흥천사 동종 등의 문화재를 전시하였습니다. 2018년 80여 년 만에 제자리를 찾아 함녕전 남쪽으로 옮기고 없어졌던 무노가 잡상 등을 복원하였습니다. 현재 보루각 자격루와 흥천사 동종은 국립문화재연구소에 보존처리 중입니다.
◈정관헌
정관헌은 조선 역대 왕의 초상화인 어진을 봉안했던 장소로 1900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전각은 동서양의 양식을 모두 갖춘 건물로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도양식이며, 건물은 차양 칸과 난간을 서양식처럼 꾸몄습니다. 또한 난간에는 사슴, 소나무, 당초, 박쥐 등의 전통 문양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석조전
조선시대 궁중 건물 중 대표적인 유럽풍의 석조 건축물로 영국인 '하딩'이 설계하였고, 1910년에 준공되었습니다. 고종은 고관 대신과 외국 사절들을 만나는 용도로 석조전을 사용하였습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기 이전까지는 현대미술품을 진열하였으며, 1946년~1947년까지 미. 소 공동위원회가 사용하였습니다. 1948~1950년에는 유엔 한국 위원단이 이곳을 사무실로 사용하였습니다. 그 후 국립중앙박물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2009년 문화재청에서 석조전을 1910년 준공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 공사를 진행하여 2014년에 석조전 대한제국 역사관으로 개관하였습니다.
◈석조전 서관
1936년 8월 기공하여 1938년 6월에 준공하였으며, 이왕가 미술관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현재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명전
1897년 황실의 도서와 보물을 보관하는 용도의 황실 도서관으로 계획되어 1899년 준공되었습니다. 한성부 건축기사로 초빙된 미국인 다이의 설계로 1층 서양식 건물로 지어졌습니다. 1901년 11월 화재로 전소되어 이듬해 회랑이 있는 2층 건물로 재건축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수옥헌이라 불렸으나, 1906년경부터 중명전으로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1904년 4월 고종이 이곳으로 이어하면서 편전 겸 폐현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이듬해인 1905년 이곳에서 을사늑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이후 중명전은 외국인 클럽 등 민간 영역에서 활용되면서 내외부가 많이 변형되었습니다. 2009년까지 문화재청에서 복원공사를 진행하고, 실내를 전시장으로 개비하여 2010년부터 전시관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 문화재청 덕수궁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댓글&구독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5일 어린이날 선물 추천 (34) | 2021.05.05 |
---|---|
4월 22일은 지구의 날! <전국소등행사> (17) | 2021.04.22 |
서울 4대 궁 3탄 <조선시대의 궁궐, 창경궁> (23) | 2021.04.19 |
서울 4대 궁 2탄 <조선시대의 궁궐, 창덕궁> (10) | 2021.04.18 |
서울 4대 궁 1탄 <조선의 으뜸 궁궐, 경복궁> (18) | 202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