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단오의 의미와 풍습

반응형

 

안녕하세요. 판다롱입니다.

오늘은 단오에 관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신윤복 단오풍정

 

<음력 5월 5일 단오>

한국 3대 명절인 설날, 추석에 이은 명절이며 매년 음력 5월 5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양력으로는 대체로 6월이 됩니다.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고 일컬었고, 다른 말로는 천중절, 오월절, 그네를 타는 명절이라는 뜻에서 추천절이라고도 부르지만 일반에서는 흔히 단오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에서도 같은 날에 단오를 보냅니다. 다른 대부분의 멸절들과 마찬가지로 윤달은 단오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하면서 하루를 보내는 우리나라 명절입니다.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이기도 한 단오는 우리나라에서 큰 명절로 여겨져 여러 가지 행사가 행해지고 있습니다. 단오의 '단'자는 처음 곧 첫 번째를 뜻하고, '오'자는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초닷새라는 뜻이 됩니다. 

 

단오의 풍속 및 행사로는 창포에 머리 감기, 쑥과 익모초 뜯기, 대추나무 시집보내기, 단오장이라 하여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 삼아 머리에 꽂는 등의 풍속과 함께 그네뛰기, 활쏘기, 씨름 같은 민속놀이 등이 행해졌습니다.

 

단오의 기원은 재액을 예방하고 풍요와 안정을 기원한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비가 잦은 계절인 5월이 병마가 기승하는 시기임을 이용하여 악귀와 병마를 쫓는 풍습을 통해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단오에는 주로 향이 강하고 짙은 창포, 쑥잎, 약초 등을 통해서 악귀와 병마의 강림을 방지하는 풍습을 갖게 되며 이 영향으로 쑥으로 만든 쑥떡을 먹거나 창포잎으로 담은 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생겼습니다. 당시에는 문 앞에 쑥잎으로 만든 인형이나 호랑이 등을 문에 걸어놓은 적도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창포

 

 

 

<배경과 역사>

예로부터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등 월과 일이 겹치는 날은 양기가 가득 찬 길일로 쳐왔는데, 그 가운데 5월 5일을 가장 양기가 센 날이라고 해서 으뜸 명절로 지내왔습니다. 추위가 늦게까지 계속되는 북쪽 지방은 이때 비롯 날이 완전히 풀리기 때문에 경사스러운 날로 기념했는데, 그런 까닭에 남쪽이 추석을 중요하게 여길 때 북쪽에서는 단오를 더 중시했습니다. 오늘날도 단오를 쇠는 곳이 더러 있어 해서지방에서는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등 탈놀이를 하기도 하며, 지금도 강릉지방에서는 남재천의 넓은 공터에서 단오 굿판이 전승되고 있으나 차츰 사라져 가는 추세입니다.

 

 

 

<관련 행사>

옛날에는 이날 하루 마음껏 놀이를 즐기며 휴식을 만끽했습니다. 또 약초를 캐고 창포를 문에 꽂아두기도 하며 창포물에 머리를 감기도 하고, 창포주나 약주를 마셔 재액을 예방했습니다. 쑥으로 인형이나 호랑이를 만들어 문에 거는 풍습도 있었는데, 이러한 것들로 보아 약초, 창포, 쑥 등의 강한 향기와 약성으로 재약을 쫓았던 것 같습니다. 이날은 차륜병이라 해 수리취를 넣어 둥근 절편도 만들어 먹었으며, 그네뛰기, 씨름, 탈춤 등 여러 가지 민속놀이가 행해졌습니다.

 

오늘날에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단오를 쇠지 않으며, 단오를 쇠는 강릉, 전주 등의 지역에서 단오제를 개최해 옛 단오 풍습에 관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며 명절의 뿌리를 이어가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중 강릉 단오제는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 13호로 등록된 데 이어 2005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단오의 풍습>

단오고사

단오에 집안의 평안과 오곡의 풍년 그리고 자손의 번청을 비는 제사입니다. 단오 고사는 대체로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산간 지역과 영동 지역 일대에서 행합니다.

 

단오장

단오에 나쁜 귀신을 없앤다는 뜻에서 행하던 여자들의 치장입니다. 벽사의 의미를 담아 옷을 해 입기도 하고 창포탕에 머리를 감기도 하며, 여러 가지 치장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단오절사

단오를 맞이하여 지내는 조상 제사입니다. 절사란 계절이나 명절이 바뀜에 따라 지내는 제사입니다. 유사한 개념으로 차례가 있는데, 이는 음력 설날이나 매달 삭망일, 곧 초하룻날과 보름날 간단히 음식을 차려놓고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반면 절사는 사당에서 지내기도 하고, 산소에 올라가서 지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중국에 비해 산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묘제가 발달하였습니다. 그래서 설날, 한식, 단오, 추석 4대 명절에 주로 행하는 묘제를 절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단오첩

단옷날 신하들이 단오절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궁중에 올릴 첩자입니다. 단오절을 축하하는 시를 짓는 풍습이 언제 시작되었는지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조선 후기까지 내려온 풍속입니다.

 

문호장 굿놀이

경남 창녕군 영산 지방에서 매년 5월 단옷날 행하는 부락 공동제로 단오굿, 봄굿이라고도 합니다. 문호장은 영산의 산신이며 수호신으로 고장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인데, 신상은 호랑이로 상징됩니다. 호장으로 뽑힌 사람이 영취산 상봉의 서낭당에서 지내는 마상굿과 호장이 산에서 내려오다가 말재주골에서 다시 지내는 마당굿이 있습니다. 마당굿에서는 서낭대를 세워 제물을 차려놓고 호장, 수로, 안무당 등 수십 명이 참예합니다. 끝나면 하산하여 마을 복판의 두룽각시 왕신 서낭당에서 두룽굿을 지내며 온 마을 사람이 즐깁니다.

 

 

 

출처 나무위키, 네이버 학습용어 개념사전, 다음백과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