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6월 6일 현충일 / 현충일 의미와 태극기 게양 방법

반응형

 

안녕하세요. 판다롱입니다.

6월 6일은 현충일이며,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며 조기 게양을 합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현충일 묵념>

6월 6일 현충일 오전 10시 정각에 전국에 동시에 사이렌이 울리고 1분 동안 묵념을 합니다.

 

 

 

<6월 6일 현충일>

국가가 존재하는 데에는 상당한 전란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국가는 그 전란에서 희생된 자를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1948년 8월 정부 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한국전쟁을 맞았고 이에 40만 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였으며 백만 명에 달하는 일반 시민이 사망하거나 피해를 입었습니다.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나 어느 정도 자리가 안정을 찾아가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현충일로 공식적으로 개칭되었습니다. 1982년 5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법정기념일이 되었습니다.

 

행사는 국가보훈처가 주관이 되어 행하는바 서울에서는 국립묘지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추모 대상 범위는 한국전쟁에 전사한 국군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친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리고 있습니다.

출처: Wikimedia

 

 

 

 

 

<태극기 게양 방법>

조의를 표하는 날에는 조기를 게양합니다. 태극기를 깃 면의 너비만큼 내려 달아야 합니다. 태극기 게양 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고 악천후로 국기의 존엄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게양하지 않습니다. 악천후인 경우는 날이 갠 후 달거나 내렸다가 다시 게양해야 합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국가보훈처>

1961년 7월 군사원호청으로 출발하였습니다. 1962년 원호처로 승격되고, 1985년 1월 1일 국가보훈처로 개칭하였습니다. 2004년 3월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장관급 기관으로 승격된 이후 2008년 2월 차관급으로 개편되었다가 2017년 7월 다시 장관급으로 격상하였습니다.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한 보훈, 참전군인과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2013년 12월 중앙행정기관 6개 부처 정부 세종청사 이전으로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습니다. 주요 업무는 상이군경의 치료 및 원호, 전몰군경 유족의 원호, 애국지사 및 그 유족의 원호, 군인보험에 관한 사무, 원호대상자의 임용 및 고용과 원호를 위한 보상금 지급 등입니다. 독립유공자와 고엽제 후유증을 앓는 환자, 반공 귀순상이 자도 보훈대상에 포함됩니다.

 

처장(장관급 정무직) 1인과 차장(차관급 정무직) 1인이 있고, 하부조직으로 기획관리관, 보훈관리국, 보훈선양국, 복지사업국 등이 있으며, 그 아래 5개 지방보훈청과 21개 보훈지청, 국립묘지관리소와 보훈심사위원회를 두고 있습니다. 산하단체에는 4·19 국립묘지, 광복회, 대한민국 상이군경회, 대한민국 재향군인회와 사단법인 4·19회, 한국보훈복지공단 및 한국보훈병원, 국립 보훈원이 있습니다.

 

 

 

 

 

<현충일에 가볼 만한 곳>

1. 국립 서울현충원

1995년 7월 15일 국군묘지로 창설되어 전사 또는 순직 군인과 군무원 및 종군자의 영헌을 안장하였으나, 10년 후인 1965년 3월 30일 국립묘지로 승격되어 국가원수, 애국지사, 순국선열을 비롯하여 국가유공자, 경찰관, 전투에 참가한 향토예비군 등이 추가 안장되었습니다. 1996년 6월 1일 국립묘지관리소라는 관리기관 명칭이 국립현충원으로 변경되었고, 2006년에는 국립 서울현충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으며, 계속된 안장으로 국립 서울현충원이 만장에 이르자, 1979년 국립 대전현충원을 창설하여 이곳에 안장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국립 대전현충원은 국립 서울현충원의 2배가 넘는 면적으로 1986년 이후의 영현이 안장됩니다.

출처: Xavier

 

 

2. 국립 대전현충원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에 있는 국립현충원의 안장 능력이 한계에 이름에 따라, 1979년 4월 1일 착공해 같은 해 8월 29일 국립묘지관리소 대전분소로 출범하였습니다. 1985년 국립묘지를 준공한 뒤, 1991년 국립묘지 대전 관리소 승격을 거쳐 1996년 6월 1일 지금의 국립 대전현충원으로 이름을 변경하였습니다.

 

묘역 조상 외에 현충일 행사, 합동 및 개별 안장식, 호국영화 상영, 유품 및 전리품 관람, 학생 참관교육, 묘역 가꾸기 봉사 등의 활동도 합니다. 개방시간은 7시부터 18시까지이며, 연중무휴입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로 1558번지에 있습니다.

출처: doopedia.co.kr

 

 

3. 용산 전쟁기념관

용산구에 위치하고 있는 전쟁기념관은 '선열들의 위국 헌신을 기리고, 전쟁의 참상을 통해 평화의 소중함을 배울 수 있는 곳'입니다. 전쟁을 단일 주제로, 5천 년 민족사를 조망한 대한민국 유일의 전쟁사 종합 박물관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는, 자주독립을 지켜온 국난 극복사 등 전쟁에 관한 자료를 수집, 보존하고 전쟁의 교훈을 통하여 전쟁을 예방하며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이룩하는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현충일 당일에 여러 행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출처: 전쟁기념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